2022. 7. 31. 22:29ㆍADsP 스터디
1. 다음 중 분석 주체 유형을 분류할 때 데이터 분석 방법과 다양한 분석 구조의 활용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나, 조직 내 분석 대상이 무엇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유형은 무엇인가?
④ 통찰
-> 가로축이 분석대상, 세로축이 분석방법인 것을 까먹지 말자
3. 분석 기획 고려사항 중 장애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?
③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.
4. 다음 중 성공적인 분석을 위해서 고려해야할 요소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?
② 원점에서 솔루션 탐색
* 성공적인 분석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
1. 관련 데이터의 파악 - 분석의 기본이 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려가 필요
2. 비즈니스 케이스 확보 - 분석을 통해서 가치가 창출될 수 있는 적절한 활용방안과 활용 가능한 유즈케이스의 탐색이 필요
3. 이행 저해 요소 관리 -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 계획 수립이 필요
11.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채널에 대한 기능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?
① 해당고객에게 접근하는 유통채널을 공급한다.
-> 유통채널은 캔버스 채널에 포함되지 않는다.
12.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문제 탐색단계에서 사용하는 도구이다. 이를 구성하는 단위로 적절한 것은?
② 업무-제품-고객-규제와 감사-지원인프라
(업,제,고,규,지)
비즈니스 모델 캔버스(9가지)를 단순화한 5가지 영역
( ①업무 ②제품 ③고객 ) + ( ④규제 & 감사 ⑤지원 인프라 )
13. 데이터 분석에는 하향식 접근 방식과 상향식 접슨 방식으로 분석과제를 발굴하게 되는데, 다음 중 하향식 접근 방식의 단계에서 타당성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?
③ 데이터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문제발생 포인트에 대한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다.
-> 역량 확보 방안을 사전에 수립하고 + 이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비즈니스 지식과 기술적 지식 요구
16. 다음 중 분석 마스터플랜의 세부 이행계획 수립시 고려해야 할 데이터 분석체계(분석 방법론)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① 데이터 분석 체계는 이해도가 높은 폭포수 모델이 가장 적절하다.
-> 상향식과 하향식이 섞여있는 나선형 모델이 가장 적절하다
② 반복적 정련 방식은 데이터 수집 및 확보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.
-> 모델링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
③ 프로토타입 모델은 데이터 분석체계로는 적절하지 못하다.
④ 프로젝트의 세부 일정계획도 데이터 분석체계를 고려해 작성한다. (16의 답)
17. 다음 중 분석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?
① 데이터 분석 모델의 품질을평가하기 위해서 SPICE를 활용할 수 있다.
② 분석 프로젝트 관리는 KSA ISO 21500를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다.
-> KSA ISO 21500(2013) 분석 프로젝트의 관리방안이고 통합[Integration], 이해관계자[Stakeholder], 범위[Scope], 자원[Resource], 시간[Time], 원가[Cost], 리스크[Risk], 품질[Quality], 조달[Procurement], 의사소통[Communication]의 10개의 주제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.
③ 분석 프로젝트의 일정계획 수립시 데이터 수집에 대한 철저한 통제와 관리가 필요하다. (17의 답)
-> 일정 계획을 할 때 계속 변경되니까 시간을 많이 투자하면 안된다.
④ 분석 프로젝트의 최종 산출물이 보고서인지 또는 시스템인지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에 차이가 있다.
-> 프로젝트 관리방안 중 범위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보고서인지 시스템인지에 따라 투입되는 자원 및 범위가 달라지므로 사전에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.
23. 기업의 데이터 분석과제 수행을 위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 준비도를 파악해야한다. 다음 중 데이터 분석 준비도 프레임워크에서 분석 업무 파악 영역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?
① 최적의 분석 업무
② 업무별 적합한 분석 기법 (23의 답)
-> 전사 차원에서 분석
③ 예측 분석 업무
④ 발생한 사실 분석 업무
25. 데이터 분석을 위한 조직 구조 중 아래 보기에 해당하는 것은?
- 전사 분석 업무를 별도의 분석 전담 조직에서 담당
-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분석조직이 우선순위를 정해서 진행 가능
- 현업 업무 부서의 분석업무와 이중화/이원화 가능서어 높음
① 집중구조
26. 분석 마스터 플랜 수립에서 과제 우서순위 결정과 관련한 내용으로 부적절한 것은?
① 가치는 투자비용 요소이다.
-> 가치는 비즈니스 관점
28. 다음 중 분석 기회 발굴의 범위 확장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?
① 거시적 관점의 메가트랜드에서는 현재의 조직 및 해당 산업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, 경제적 요인을 사회, 기술, 경제, 환경, 정치 영역으로 나누어서 좀 더 폭넓게 기회 탐색을 수행한다.
-> STEEP
② 경쟁자 확대 관점에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사업 영역의 직접 경쟁사 및 제품, 서비스를 중심으로 현 상황에 대한 분석 기회 발굴의 폭을 넓혀서 탐색한다.
-> 신규 진입자도 고려해야한다.
30.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는 기업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. 다음 중 기업에서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중장기적 대응방안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③ 데이터 분석 도구 기반의 교육
-> 단순히 분석 도구만 아니라 인사이트도 교육해야한다.
31. 다음 중 분석과제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?
② 분석과제로 확정된 분석과제를 풀(Pool)로 관리한다. (31의 답)
시작단계가 아니라 중간이랑 마무리 단계에서 풀(Pool)로 관리한다.
32. 다음 중 기존에 행해졌던 데이터 분석과 비교한 빅데이터 분석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?
(ㄱ) 분석 대상 데이터를 모든 형태 및 내외부 데이터로 확대한다.
(ㄴ) 데이터의 생산 시점에서부터 실시간에 가까운 분석이 가능하다.
(ㄷ) 데이터 마트에 정형 데이터를 적재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모델을 만들 수 있다.
(ㄹ) 고급 분석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.
-> 고급 분석기법은 기존에 행해졌던 데이터 분석에서도 이루어졌다.
'ADsP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모각코] day6. 8/6 3과목 3장 데이터 마트 오답정리 (0) | 2022.08.06 |
---|---|
[모각코] day5. 8/3 3과목 1장, 2장 R프로그래밍 기초 오답정리 (0) | 2022.08.03 |
[모각코] day3. 7/27 3과목. R데이터 분석 part1 (0) | 2022.07.28 |
[모각코] day2. 7/23 2과목. 데이터 분석 기획 (0) | 2022.07.24 |
[모각코] day1. 7/20 목표설정과 스케줄 조정 (0) | 2022.07.20 |